성리학 도입과 발전으로본 조선전기의 문화


안녕하세요 오늘은 조선 전기의 문화 두번째 시간입니다. 

오늘은 두명의 인물에 집중해서 공부를 해보겠습니다. 바로 이황과 이이입니다. 

들어가기 전에 간단히 알아볼께 있습니다. 

- 이황은 동인중에서 남인에 속하는 사림세력입니다. 이후에 일본 성리학 전파에 큰 영향을 끼친 인물입니다. 

- 이이는 서인중에서 노론에 속하는 인물입니다. 임진왜란전에 10만 양병설을 주장했던걸로 유명한 위인입니다. 

이렇게 두명의 위인을 중심으로 성리학 도입과 발전을 알아보고 조선 전기의 문화에 대해서 좀더 집중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위의 그림은 십만 양병설을 주장한 율곡이이의 초상화입니다. 

0. 성리학의 도입

: 성리학은 고려말 신진사대부들에 의해서 우리나라에 들어오게 됩니다. 

중국 송나라때의 학문이었는데 이때의 성리학은 우리가 생각하는 관념적인 성격의 학문이라기 보다는 개혁적이고 국가 경영과 관련된 내용이 주를 이루었습니다. 

그렇다 보니 부패한 고려를 개혁하고 싶어하는 신진사대부들이 이러한 학문을 빠르게 흡수하여 우리나라로 들여오게 됩니다. 

이후 조선이 건국되고 조선의 주된 학문으로 자리잡게 됩니다.


1. 성리학의 발달

#. 이황은 인간의 심성을 중시하고, 근본적이며 이상주의적인 성격이라고 할수 잇습니다. 

일본 성리학 발전에 영향을 끼쳤습니다. 

- 중요서적 : 주자서절요, 성학십도


#. 이이는 기(氣)를 강조하였습니다. 현실적이며 개혁적인 성격이라고 할수 있습니다. 

이에 다양한 개혁 방안을 제시하였습니다(통치 체제 정비, 수취 제도 개혁)

- 중요서적 : 동호문답, 성학집요


#. 동인 vs 서인 : 훈구세력(세조의 주도세력)의 잔재청산문제로 사림은 동인과 서인으로 갈라지게 되었습니다. 

거기에 이조 // 전랑의 문제를 가지고 싸우게 됩니다.

- 관리 인사권을 이조 전랑이 들고 있기 때문입니다. 




2. 불교와 민간신앙

#. 불교 : 기본적으로 조선은 유교를 숭상하고 불교를 억압하는 모습을 보여 주었습니다. 

: 숭유억불 정책이라고 할수 있습니다. 


- 사원에 대한 국가의 통제 

: 건국 초기에 사원전과 노비를 회수하였고 도첩제를 실시하여 승려수를 제한하였습니다. 

: 그래도 간간이 명맥은 유지해갔습니다. 세조때 간경도감을 설치해서 불교 경전을 찍어냈으며, 명종때는 승과를 부활 시키고 승려인 보우를 중용하였습니다. 



#. 도교 

: 한양으로의 천도가 풍수지리설을 기반으로 하였습니다. 

국가적으로 드러내고 도교를 숭상하지는 않았지만 백성들과 왕족들 모두의 생활풍속안에 스며들어가 있는것이 도교 였습니다. 

묘자리에 대한 풍수지리설을 늘 염두에 두는 모습에서도 알수 있습니다. 


#. 초제라고 해서 대표적인 도교 행사가 있었으나 중종때의 조광조가 늘 폐지를 주장하였습니다. 

이 글을 공유하기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