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시적 관점 + 기능론 -사회 문화 현상을 보는 관점


사회 문화 현상을 보는 관점


거시적 관점 + 기능론


들어가기 앞서서 미리 살펴봅시다. 


#. 사회학 이론은 크게 거시적 구조를 중시하는 이론과 미시적 과정을 중시하는 이론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 거시적 구조를 중시하는 이론의 대표적인 것은 기능론과 갈등론이 있다. 

- 미시적 구조를 중시하는 이론의 대표적인 것은 상징적 상호 작용론, 교환이론 등이 있다. 

#. 일단 거시적 구조와 미시적 구조로 나누어서 살펴보겠다. 기능론과 갈등론에 집중해서 보겠다. 

#. 이번시간에는 기능론에 집중해서 설명을 하겠다. 


<학교는 기능론에서 사회화를 담당하고 있는 기관으로 기능론의 좋은 예시가 된다. 

기능론은 일탈이 일어날 경우 학교의 문제라고 생각할 수 있다.>


1. 기능론( ≒ 사회 유기체설 ≒ 합의론)

가. "부분은 전체 질서 유지를 위해서 특정 역할을 수행한다."

--> "일탈 조차도 그 정도가 지나치게 심하지 않으면 질서 유지에 기여를 한다." by 뒤르켐

--> 전체 질서 유지 : 이게 기능론의 궁극적인 목표이다. 


나. 구성원들 간의 폭넓은 가치 합의에 근거 하고 있다. 


다. 부분과 부분은 [협동적 / 상호의존적 / 유기적] 관계를 이루고 있다. 

--> 갈들은 [병리적 현상 / 비정상저] 이라고 치부해 버린다. --> 사회에서 발생하는 갈등을 설명하지 못한다. 


라. 사회는 언제나 스스로 균형과 조화를 이루려는 경향, 즉 향상성을 가진다. 



- 기능론에서는 정해진 규범을 어기는 행위 자체가 일탈이고 // 사회 문제이다. 

- 가정교육 / 학교 / 정부는 기능론적 관점이고(사회화의 실패) 사회 전체의 불공정성에 주목하면 갈등론적 관점이다. 

- 갈등론은 다음 포스팅에서 좀더 상세히 다루겠다. 




2. 사회문제론 - 기능론

: 사회문제에 대해 기능론의 입장에서는 어떻게 바라보고 있는지 서술해 볼 것이다. 


0) 위의 예시를 잘보자 

" 철수는 가난하다." 라는 사실을 놓고 

- 기능론에서는 철수가 게을러서 가난해, 철수가 학교교육을 잘못받아서 가난해, 철수가 사회적응을 잘못해서 가난해 라고 볼수 있는 반면

- 갈등론에서는 철수의 집안이 가난해서 어쩔수 없어, 철수는 가난을 극복하기엔 사회가 만만하지 않아, 사회구조가 잘못되어 있어 회생이 힘들어 , 라고 생각할 수 있다. 

- 이해 가시나요?


1) 사회문제가 발생하는 것을 사회 전체의 기능적 결함이 아니다. 

이는 사회체계 일부의 기능인 사회화 기능과 사회 통제기능의 실패라고 인식

--> 사회 자체가 문제 있다고 보기보단 개인 // 가족의 병리 // 일탈적 하위문화 // 사회제도 // 기회구조의 일부에 문제가 있다고 본다. 사회 전체에서 근본적인 원인이 있다고 보질 않는다. 


2)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기능론은 낙관적 견해를 가지고 있다. 

---> 부분이 잘못되어 있으니 부분만 슥 하고 교체하면 된다. 라는 기본 마인드를 가지고 있다. 


음 글을 적고 나서 한번 쭉 읽어봣는데 너무 어렵게 썻나 라는 생각이 든다. 

나중에 다시 고등학생 버전으로 작성을 하겠다. 

이 글을 공유하기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