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선형 교육과정과 지식의 표현양식 - 브루너
- 공부/Education
- 2015. 5. 18. 08:30
브루너의 나선형 교육과정과 지식의 표현 양식
#. 나선형 교육과정이란 무엇인가?
나선형 교육과정이란 무엇일까?
나선형 교육과정은 '교육과정을 조직할 때 중요한 원리 중 하나인 계속성의 원리를 이용하여 학생들을 가르칠 때 점진적으로 내용을 심화시키고 확대를 통해 계열성의 원리를 통한 학습의 이론'을 말한다.
또한 다른 표현으로는
"학문의 개념이나 원리, 또는 태도, 사고 방법 등이 학생의 발달 단계가 높아짐에 따라
그 지적 성격의 동일성과 연속성을 유지하면서 점점 세련된 형태로 가르쳐지도록 계획된 교육과정.' 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위의 나선형 모형 처럼 비슷한 내용을 가르치되 점점 지식이나 교과의 수준을 높이는 것을 말한다.
#. 나선형 교육과정의 시사점
- 브루너는 한 교과의 기본 개념이나 원리를 발달단계에 맞게 번역하는 원리로서 지식구조의 세 가지 표현 방식을 제안하였다.
1) 작동적 표현 양식
- 밧줄과 바퀴가 4개인 수레차 두대를 준비하여 학생 두 사람이 각각 수레차에 탄 다음 밧줄 양 끝을 잡고 마주 보고 선 뒤 한사람만 밧줄을 잡아 당긴다.
( 결과 : 밧줄을 당긴 사람 당기지 않은 사람의 수레 모두가 움직인다.)
2) 영상적 표현 양식
- 이러한 현상을 영상으로 표현한 구체적인 실례를 보여준다.
( 줄다리기, 배에서 노저으며 앞으로 가기, 공이 지면으로 떨어질때 등의 모습)
3) 상징적 표현양식
- 한 물체가 다른 물체에 힘을 작용하면 힘을 받은 물체도 힘이 작용한 물체와 크기가 같고 방향이 반대인 힘이 작용한다는 작용반작용의 법칙 개념을 정의한다.
#. 지식의 표현 양식은 피아제의 지적 발달 단계를 거치면서 발달 한다.
#. 브루너는 아동의 지적 발달 단계에 알맞은 형식으로 지식 구조를 표현하면,
아동은 어떤 지식이라도 기본 구조를 파악할 수 있다고 주장하였다.
#. 교육과정의 종적 조직에 관계되는 계속성의 원칙을 반영하면 ' 나선형 교육과정'의 이론적 근거가 된다.
'공부 > Educati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각인현상으로 본 영화 아름다운 비행(Fly Away Home) (0) | 2015.11.23 |
---|---|
칭찬의 효과(자녀와 학생에게 올바로 말하기) (0) | 2015.11.21 |
켈러의 ARCS모형(학습동기이론) (0) | 2015.08.31 |
이 글을 공유하기